온라인 쇼핑몰사업을 시작하려고 할때
제가 준비하면서, 찾아보고 직접 발급하면서 느낀점을 적어보았습니다.
스마트스토어창업 및 모든 온라인 사업을 시작하시는 분들에게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.
방문할 곳
-세무사:사업자등록증 원본 받으러 가기
-구청:통신판매업 신고증 받으러 (간이과세자는 면허세 면제) +신분증 지참
-3대 은행 방문 : 농협 / 기업 / 국민 (에스크로 발행 가능) +임대차계약서+사업자등록증 원본!+통신판매 신고증 원본
-주민센터 : 인감증명서(첫 등록 시 도장 필수)->사업자 통장 개설 시 필요, 신분증
발급 후기 및 쇼핑몰 개설 후 느낀 점!!
-세무사: 사업자등록증 발급문자 받고 가서 바로 받으시면 됩니다!!
사본은 홈택스에 등 인터넷에서 발급이 가능하니, 여분을 준비해서 들고 다니시길 바랍니다.
-구청: 가시면 신분증과 통신판매업 신고증 받았고요. 이 원본을 들고 여기저기 필요할 때 써야 합니다.
여기서 간이과세자는 면허세 면제인데, 1년 동안만 입니다.
다음 해에는 내야 해요.( 40,500원) 그러니 연초부터 사업을 시작하시면 아낄 수 있는 팁이 되겠죠.
-은행: 우선, 농협중앙회는 발급이 인터넷에서 본 것처럼 까다로워서 포기
저는 농협(지역 농축협)에가서 엄청 쉽게 발급받았고요.
주거지와 사업장이 같은 구이면, 절차가 쉬워지더라고요.
통신판매 신고증 원본만 주고, 다른 건 필요 없었어요.
바로 사업자 통장 발급과, 한도 설정이 자유로게 가능했습니다. 1억 이서 ~3억 미만? 이였던 거 같아요.
저는 사업 초반에 1억 도 많다고 생각해서 따로 지정 안 했고, 이체한도도 500만 원 정도로 자유롭게 설정 가능했습니다.
그리고 무조건 사업장 주변이나, 주거지 주변에 가까운 은행을 주은행으로 사용하시길 바랍니다.
요즘 인터넷뱅킹이 뛰어나도, 사람일은 모르는 거죠 ㅎㅎ
저도 주거지 근처로 했더니, 바로 이체가 안 되는 상황이 발생해, 걸어서 이체한 경험이 있습니다.
-주민센터 : 인감증명서는 인터넷에 발급이 필요하다고 했는데, 저는 은행에서 따로 필요가 없어서 사용하지 않았는데
의외로 도매사이트에서 요구하는 경우가 있어서, 발급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.
날 잡아서 한꺼번에 처리하시는 것도 좋을 거 같아요.
신분증 각종 원본들 잘 준비해서 또 가게 되는 일이 없었으면 좋겠습니다.
사업자등록증은, 통신판매업신고를 인터넷으로 신청하시고 통신판매업 나올때 같이 받은뒤 은행과,
주민센터로 가는걸 추천드리구요.
각자 상황에 맞게 조절하시길 바랍니다.
'스마트스토어 사업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스마트스토어 사업자통장 개설 (0) | 2019.10.22 |
---|---|
스마트스토어 첫주문 발송하기 (0) | 2019.10.22 |
통신판매업 신고 안해도 되는 경우는? (0) | 2019.09.30 |
스마트스토어 발주확인 첫주문 (0) | 2019.09.26 |
스마트 스토어 사업자등록해야 하나? 말아야 하나? (0) | 2019.09.23 |